본문 바로가기

독서 기록11

[오브젝트] 10장 - 상속과 코드 재사용 1. 개요중복된 코드를 제거하고 코드를 재사용하고 싶다는 욕망을 가져본 적이 있을 것이다.이번 장에서는 코드 재사용에 대해 살펴보고 그 기법 중 하나인 상속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2. 중복 코드중복 코드가 안 좋은 이유중복된 코드는 변경을 방해한다.요구사항이 변경 됐을 때 중복된 코드가 많다면 그 코드를 모두 수정해야 한다.각 코드를 수정해도 되는지 일일이 테스트하며 요구사항 변경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중복 코드가 있으면 코드를 수정하는데 필요한 노력이 몇 배로 증가된다.어디서 오류가 생길지 모르는 중복된 코드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저자는 중복 코드는 마치 시한폭탄과 같다고 비유할 정도이다.중복 코드를 판단하는 기준중복 코드를 판단하는 기준은 의외로 변경이다.요구사항에 의해 로직을 변경할 때, .. 2024. 6. 16.
[오브젝트] 9장 - 유연한 설계 1. 개요8장에서는 의존성에 대해 살펴보고 여러 의존성 관리 기법들을 알아보았다.이번 장에서는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몇 가지 원칙을 배우게 된다.2. 개방-폐쇄 원칙개방-폐쇄 원칙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OCP)은 '모든 개체는 확장에 대해 열려 있고, 수정에 대해 닫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여기서 확장은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동작이 추가되어 기능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수정은 기존 코드가 수정되는 것을 의미한다.런타임 의존성, 컴파일타임 의존성과의 관계앞서 컴파일타임은 코드 레벨과 관련이 깊다는 것을 보았다.개방-폐쇄 원칙은 '컴파일타임 의존성을 수정하지 않고도 런타임 의존성을 변경할 수 있음'으로도 볼 수 있다. 런타임 의존성과 컴파일타임 의존성을 구분하기 위.. 2024. 6. 15.
[오브젝트] 8장 - 의존성 관리하기 1. 개요객체지향 설계를 위해 높은 응집도를 가진 객체를 만들게 된다.응집도가 높은 객체는 한 가지 일만 잘하기에 다른 객체와 협력이 필요하다.응집도가 높아질수록 자연스럽게 협력도 늘어난다. 하지만 협력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객체를 알아야 한다.즉 협력의 과정에서 의존성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협력을 위한 적절한 의존성은 유지하되, 변경을 막는 과도한 의존성은 제거해야 한다.이를 의존성 관리라고 부른다.2. 의존성이란?실행 시점 의존성런타임 의존성(run-time dependency)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점에서 의존하는 객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의존 대상 객체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구현 시점 의존성컴파일 타임 의존성(compile-time dependency)이라고도 불린.. 2024. 6. 13.
[오브젝트] 7장 - 객체 분해 내용 정리: 20240410 TIL 1. 개요 복잡한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는 것은 어렵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정보가 필요하고, 우리의 머리는 이를 버티지 못한다. 이처럼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를 인지 과부하(congitive overload)라고 한다. 인지 과부하를 막기 위해 우리는 복잡하고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작은 문제로 나눈다. 추상화를 사용해 정보의 핵심만을 남기며 문제를 분해(decomposition)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도 추상화를 통해 복잡성을 극복하며 발전해 왔다. 기계어는 어셈블리어로 추상화되고, 어셈블리어는 고수준 언어로 추상화되었다. 프로그래밍 패러다임도 추상화와 분해의 관점에서 살펴보자. 2. 프로시저 추상화와 데이터 추상화 프로.. 2024. 4. 14.